일프로 3주차 발자취
* 손쉽게 데브옵스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
- Vagrant랑 스크립트로 Jenkins, K8s, Docker 환경을 한 번에 구성함
- Jenkins 대시보드랑 K8s 대시보드까지 바로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음
- kubectl 인증서 복사해서 사용하는 구조 실습
- VM 네트워크 구성이랑 Jenkins가 이미 설치된 상태라 실습 위주로 진행 가능함
- 기본적으로 DevOps 환경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다 갖춘 느낌
→ 직접 설치 안 해도 되는 게 편했고, 환경 구조 자체를 이해하기엔 괜찮았음
* 배포를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알아야 할 것들
- CI/CD 전반 흐름 설명 (개발 → 테스트 → 빌드 → 배포 → 운영)
- 배포 전략 종류 비교: Rolling Update / Blue-Green / Canary
→ 단순히 yaml만 만지는 게 아니라, 전체 흐름이 머릿속에 좀 정리되는 느낌
* Jenkins Pipeline 기초부터 Blue-Green까지
- Jenkinsfile로 파이프라인 구성: 소스 빌드 → 컨테이너 빌드 → 쿠버네티스 배포
- Blue/Green 배포 실습: 두 버전 배포하고 selector 바꿔서 트래픽 전환
- 수동 전환도 해보고, 자동화 스크립트도 따로 구성해봄
- 버전 관리, 라벨/셀렉터 활용하는 구조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됨
→ 직접 파이프라인 돌아가게 해보니까 전체 흐름이 눈에 보임. 생각보다 할만했음
* Helm과 Kustomize 비교하며 사용하기
- Helm: 패키지처럼 앱 배포, 템플릿 구조. values.yaml로 설정 주입
- Kustomize: base + overlay 방식. 간단한 환경 오버레이 구성에 유리
- Helm은 재사용성 좋고, Kustomize는 직관적인 구성에 강점
→ 헬름 구조 익숙해지면 생각보다 어렵진 않음. 실무에선 둘 다 써야 할 듯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