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워밍업 클럽 4기] DevOps 발자국 3주차 - 일프로 부족할때 (TS러버)

[인프런 워밍업 클럽 4기] DevOps 발자국 3주차 - 일프로 부족할때 (TS러버)

강의 수강

데브옵스 한방정리
DevOps는 단순히 CI/CD를 구성하는 것을 넘어서, 운영과 개발을 잇는 사고방식임을 이해했습니다.
CI/CD 자동화 환경에서 실행 파일 생성과 배포 파이프라인이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전체 흐름으로 익힐 수 있었습니다.

손쉽게 데브옵스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
Jenkins를 통해 GitHub 소스를 자동 빌드하고, 쿠버네티스에 배포하는 전 과정을 실습했습니다.
전역 환경 설정, 파이프라인 구성, 그리고 배포까지 이어지는 흐름을 따라가며 DevOps 툴의 연결 지점을 익혔습니다.

배포를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알아야 할 것들
기본적인 쿠버네티스 배포 외에도, 실제 서비스 운영 시 많이 활용되는 Blue/Green과 Canary 배포 전략을 학습했습니다.
트래픽 전환을 위해 라벨과 셀렉터를 활용하며, 롤백이 쉬운 배포 구조를 직접 구성해보았습니다.

Helm과 Kustomize
Kubernetes YAML을 템플릿화할 수 있는 Helm과 오버레이 중심의 Kustomize를 비교했습니다.
Helm은 마치 ‘붕어빵 틀’처럼 재사용 가능한 구조를 만들 수 있어, 반복적인 배포에 유용하다는 점이 인상 깊었습니다.

한주 후기

Jenkins를 통해서 쿠버네티스에 배포하는 과정과 여러가지 배포전략 (롤링, Blue/Green, Canary)등을 학습했고 이후에 Kustomize배포와 ArgoCD를 사용하면 얼마나 더욱 편해지고 활용도가 높을지 기대가 되는것 같습니다. 3주차가 되니까 확실히 생업과 병행하는것이 상당히 힘들다는 생각이 들면서 다음주에는 이부분을 개선하기 위해서 노력해야 될것 같아요.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채널톡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