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nkins Pipeline (기초부터 Blue/Green 까지)

Jenkins Pipeline (기초부터 Blue/Green 까지)

0. New view 만들기

이전 작업 [새 보기] 만들어서 정리해 놓기

image[새 보기] 만들기

image

 


1. Jenkins Pipeline 기본 구성 만들기 (Step 1) - 2211

imageimagePipeline script

DOCKERHUB_USERNAME과 GITHUB_USERNAME에 hyojung-leona 넣기imageGithub에서 deployment.yaml 파일의 Image 수정

image에서 1pro/api-tester:v1.0.0를 wnnsla09/api-tester:v1.0.0로 수정

image

소스 빌드


image

 

Jenkins Pipeline 구조 이해 정리

Agent

- agent any : 사용가능한 에이전트에서 파이프라인 Stage를 실행, Master나 Salve 아무곳에서나 Stage가 실행

- agent label(node) : 지정된 레이블(노드)에서 Stage가 실행

- agent docker : Docker 빌드를 제공해주는 Agent 사용

- agent dockerfile : Dockerfile 을 직접 쓸 수 있는 Agent 사용

 

2. Github 연결 및 파이프라인 세분화 (Step 2) - 2212

2-1) item name 입력 및 Pipeline 선택

image

image

2-2) [저장] 후 [지금 빌드] 실행 (이때는 파라미터가 없어서 실행되지 않는다)

image

2-3) [파라미터와 함께 빌드] 선택 후 본인의 DockerHub와 Github의 Username 입력 후 [빌드] 실행

imagetage View 결과 확인

image

 

3. Blue/Green 배포 만들기 및 특징 실습 (Step 3) - 2213

3-1) item name 입력 및 Pipeline 선택

 

image

 

image

 

3-2) Configure > Additional Behaviours 및 Script Path 수정 후 저장

image

 

3-3) Master Node에서 version 조회 시작

imageimage

[Green 전환] yes 클릭 및 version 2로 버전 변경 확인

imageimage

3-4) 롤백 여부 선택

 

 

4. Blue/Green 자동 배포 Script 만들기 (Step 4) - 2214

image

 4-1) configure > Additional Behaviours 및 Script Path 수정 후 저장image

 4-2) Master Node에서 version 조회 시작

image

4-3) 진행 과정 확인

image

4-4) Green 배포 확인 v2.0.0으로 변경 확인

image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채널톡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