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 8일간! 인프런x토스x허먼밀러 역대급 혜택

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지상편)-인프런 일프로강사님 / 3주차 발자국

강의 수강

일주일 간 학습한 내용

데브옵스 한방 정리

  • 개발 경험이 없다보니 개발부터 코드 관리, 테스트, 배포 그리고 운영 과정에 대한 개념이 없었지만 그래도 강의를 통해 조금은 이해가 됐습니다.

  • 그리고 여러 툴 들이 있어서 정신없기는 하지만 확실히 강사님이 말씀하신 것 처럼 한 두개의 툴들을 하나씩 경험하고 미숙하게나마 다루고 방법을 알게 되면서 해당 오픈 소스들이 더 잘 와닿고 접하는데 있어서 두려움? 이 사라지는 것 같습니다.

  • MLOps나 FinOps는 들어봤는데 간략하게나마 설명해주셔서 해당 용어가 무슨 뜻인지 알게 됐습니다.

     

image

손쉽게 데브옵스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

  • 깃허브와 도커허브는 이미 가입해 놓은 계정이 있어서 해당 계정을 사용했습니다.

  • CI/CD 환경에서 쓸 오픈 소스로 Gradle, Jenkins, OpenJDK 프로그램을 새로 접하고 설치(강사님이 배포한 파일을 이용) 및 설정 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image

배포를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알아야 할 것들

  • CI/CD 파이프라인 구성부터 배포 전략 선택 시에 신경써야할 요소들을 배웠습니다.

  • 이후 단계별로 차근차근 단순한 배포 파이프라인부터 점진적으로 고도화 되는 배포 파이프라인의 단계를 배웠습니다.

  • 이 강의를 통해 앞으로 있을 내용을 미리 예측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image

Jenkins Pipeline

  • Jenkins Pipeline 기능을 이용해 CI/CD 환경을 여러 단계에 걸쳐 구축하는 방법을 배웠고 실습 과정까지 진행했습니다.

  • 1단계에서는 가장 기초적인 구성부터 이후 여러 과정으로 나눠 환경 구축하는 단계를 세분화 과정, 그리고 Blue/Green 배포를 만들어보고 자동화 과정까지의 단계를 직접 경험해봤습니다.

  • 실무에서는 해당 내용처럼은 하지 않는다고 말씀해주셨지만 확실히 직접 실습해보니 개념이 더 잘 이해됐습니다.

     image

Helm과 Kustomize 비교하며 사용하기 - Helm 배포

  • 쿠버네티스 패키지 매니저인 Helm과 Kustomize의 공통점 및 차이점에 대해 간략하게 배웠습니다.

  • 그 중 이번 주차는 Helm에 대해서 배웠는데 각각의 기능과 목적에 따라 나눠 놓은 것이 ansible의 role과 비슷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 Helm 파일들을 나열하고 수정하는 부분에서 놓친 것 같아서 해당 파트의 수업을 여러 번 다시 볼 예정입니다.

 

image

회고

아쉬운 점

  • Helm 부분 따라가다가 놓친 것 같습니다.

  • 복습을 아예 놓쳤습니다...

  • 급하게 미션 2,3,4 하다 보니 100프로 이해하지 못 한채 결과까지만 내본 것 같습니다.

 

보완하고 싶은 점

  • 미리 미션을 진행하면서 이해를 100퍼센트 하고 싶습니다.

 

나아진 점

  • 강의를 이해하는 정도가 점점 나아지고 있는 것을 느낍니다.

  • 강의를 보면서 실습을 따라하는 것이 더욱 익숙해 졌습니다.

 

미션2, 3, 4

솔직히 처음 미션 내용을 받고 나서 어떻게 진행해야 할지 감이 안 왔는데 생각해보고 조원들에게 도움도 받으면서 미션을 진행했습니다.

100프로 이해하지 못하고 결과만 받기 위해 따라 한 미션도 있지만 그래도 강의 내용을 한 번 더 복기하면서 진행하니까 해당 기능들을 왜 사용하는 지는 감을 잡았습니다.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채널톡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