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워밍업클럽4기 DevOps 3주차 발자국
개발과 빌드에서 실행 파일을 생성하는 것은 항상 존재한다는 핵심 개념을 이해했습니다.
DevOps 환경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오픈소스에 대해 알아볼 수 있었고, DevOps 이외의 다양한 Ops에 대해 알 수 있었습니다.
Jenkins를 실행하여 전역 빌드 환경을 만들어보았습니다.
GitHub의 소스 코드를 사용해 Jenkins에서 빌드하고 K8s로 배포를 진행했습니다.
K8s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방식이 아닌 Blue/green과 Canary 배포 방식을 알 수 있었습니다.
각 배포 방법의 사용 케이스를 참고하여 앞으로 프로젝트에 적합한 배포 방식을 채택하겠습니다.
Jenkins Pipeline (기초부터 Blue/Green 까지)
Jenkins 파이프라인을 사용해 시각 테이블을 직접 확인했습니다.
kubectl create, apply, patch 명령의 차이점을 구분했습니다.
Blue/Green 배포를 수행하며 K8s 서비스를 Label과 Selector를 사용해 Blue와 Green간 트래픽 전환 방식 구현 방법을 이해했고, Green의 상태에 따라 Blue 자원 제거 또는 롤백 과정을 진행했습니다.
Helm과 Kustomize의 특장점을 비교하며, Jenkins에서 Helm 배포를 진행했습니다.
Helm 차트의 구조를 파악하고 K8s 배포에서 사용된 yaml를 기반으로 Helm 차트를 수정했습니다.
K8s 배포를 위해 잘 짜여진 yaml 파일은 언제든 Helm으로 전환할 수 있으니, K8s 배포를 위한 yaml부터 차근차근 작성하는게 중요하다는 점이 와닿습니다.
Jinja2와 비슷한 문법이 Helm에서도 사용되어 신기합니다.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