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지상편: Sprint2 Day14 Helm과 Kustomize 1
Helm VS Kustomize 비교
공통점
Helm과 Kustomize는 App을 패키지 단위로 관리하는 패키지 매니저이다.
배포를 할 때 발생하는 yaml파일에 대해 중복 관리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한다.
다양한 배포 툴에서 부가적인 기능을 지원한다.
차이점
배포 편의기능이 Helm은 200개인데 반해 Kustomize는 10개이다. → Kustomize는 심플하다
Kustomize는 점점 패키지 내부에 파일이 많아지는 구조로 마이크로 서비스 배포와 다양한 배포 환경을 구성하는데 동시에 사용하기엔 부적합하다.
Helm은 기업 제품을 패키지용으로 설치하는데도 사용된다.
설치 구성의 차이점
Kustomize는 K8s 1.14 버전부터 kubectl 기능으로 통합되었다.
Helm은 패키지 저장소를 별도로 제공한다.
사용 방식의 차이점
Heml: 함수 방식, 파라미터를 주입시켜 yaml 파일을 생성한다. → 배포 환경이 많을 수록 명령어가 늘어남
Kustomioze: 오버레이 방식, 아무런 처리가 되지 않는 yaml 파일에 덮어써서 yaml 파일을 생성한다. → 배포 환경이 많을 수록 파일이 늘어남
Helm 차트 구조
api-testesr: 메인 차트
chats: 서브 차트
templates: 메인 차트의 yaml 파일 폴더
tests: App의 통신 상태를 확인하게 해주는 Helm의 부가기능
_helpers.tpl 사용자 정의 전역 변수 선언
.yml 배포될 파일
NOTES.txt Helm 배포 후 안내 문구
.helmignore: Helm 차트를 배포할 때 제외할 파일
Charts.yml: 차트 기본정보 선언
values.yaml: 배포될 yaml 파일에 들어가 있는 변수들의 기본값 선언
[1] Helm(Ver. 3.13.2) 설치
[2] Kustomize(Ver. 5.0.1) 설치
1. Helm 배포 시작하기 - 2221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