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버네티스] 데브옵스(DevOps)한방 정리 (TS러버)](https://cdn.inflearn.com/public/files/blogs/74d2542a-00f2-49f8-ba59-4979d346741b/kubernetes_image.png) 
    [쿠버네티스] 데브옵스(DevOps)한방 정리 (TS러버)
해당 블로그는 [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강의에 일부 내용입니다. 복습을 위한 자료 입니다.
- 강의 링크 :https://inf.run/f2xSR 
1. 어나더 클래스 DevOps 전체 구성도

- 개발 소스를 GitHub에 커밋하면 소스 코드를 통합적으로 관리를 하다가 CI-CD 환경에서 Build 버튼을 누르면 먼저 GitHub에서 최신 소스 코드가 다운받아집니다. 
- Gradle로 소스빌드가 시작되는데, Maven 저장소에서 소스에 필요한 라이브러리들을 다운받는 과정이 있고 최종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형태릐 JAR파일이 만들어 지면서 소스빌드가 종료된다 
- Kubernetes 환경으로 배포하기 위해 컨테이너 빌드를 해야하고 도커로 빌드가 시작되는 과정은 도커 허브에서 OpenJDK가 있는 베이스 이미지를 다운 받는다 
- 다운 받은 이미지에 내 JAR파일을 넣으면 앱이 컨테이너 이미지로 만들어진다 
- 이걸 도커 허브에 올려놓는다. 
- 배포를 위해서 kubctl 명령어를 날려서 kubernetes에 파드를 생성시키면 
- Kubernetes가 필요한 이미지를 도커 허브에서 다운받고 ContainerD한테 컨테이너 생성을 요청 
- 내 앱이 실행된다. 
2. DevOps에서 가장 중요한 것
 
 
- 개발 - 개발자가 개발 
 
- 빌드 - 실행 가능한 파일로 만들기 위한 과정 
- Gradle로 빌드 하지만 컴파일 부분은 OpenJDK가 사용 
 
- 실행파일 - JAR라는 파일이 JVM위에서 실행됨. 
 
3. DevOps를 구성하는 오픈소스들

4. DevOps를 구성하는 오픈소스들

- 연차가 쌓일수록 점차 범위를 넓혀가야 하고 만약 DevOps 엔지니어가 되더라도 개발을 꾸준히 해야한다. 
- 고연차로 넘어가면서 PM/PL/아키텍트/컨설턴트로 일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생기는데 이때 높은 역량을 보여주기 위해서 알고 있는 범위가 많아야 한다. 

- GitOps- git 하나로 통일하자
- DevSecOps- 빠른 배포와 보안을 동시에 잡자!
- MLOps- 머신러닝 (상품추천, 사용자 행동 예측)
- LLMOps- ChatGPT같은 방대한 규모에 특화
- FinOps- 클라우드 환경 비용 절감에 포커스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