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 8일간! 인프런x토스x허먼밀러 역대급 혜택

[워밍업 클럽 4기 백엔드] 2주차 발자국

내용 정리 및 느낀점

[ 테스트 코드 작성 이유 ]

  • 테스트 코드는 문서다.

  • 테스트 코드를 통해 안정적인 서비스가 가능 하고 리팩토링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강의를 수강 후 프로젝트를 했습니다.

이전에 혼자 공부할 때는 Postman을 사용 하여 일일이 테스트를 했습니다.

" 귀찮긴 하지만 이 정도는 할만하다" 라는 생각이였습니다.

하지만 협업을 하며 서로의 코드를 수정 하는 경우가 빈번 하였습니다. 그 결과 코드를 신용할 수 없었습니다.

테스트 코드를 적용해 보니 최소한의 기능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에 일일이 테스트 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비록 테스트 코드를 작성 하는 시간은 걸리지만

코드의 신뢰성과 유지 보수를 위해 테스트 코드는 "필수" 라고 생각 합니다.

 

[ BDD ( Behavior Driven Development ) ]

  • 사용자 행위를 기반으로 사용자 시나리오를 구성 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개발

* Given 
- 행위를 수행하기 전 필요한 환경

* When
- 실제 사용자 행위를 서술

* Then
- 행위에 따른 기대 결과를 서술

 

[ 미션 회고 ]

강의를 수강한 후 " 나도 이제 읽기 좋은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라고 생각 하였지만

이번 미션을 수행 하며 자만 이였음을 느꼈습니다.

변수 이름 잘 짓기, 메서드 적절히 추상화 하기 강의를 수강할 때는 쉬운 레벨 같지만 실제론 해보니

변수 이름 하나를 정하는 것도 많은 고민이 필요 했고 메서드도 "추상화 레벨을 어느정도로 해야 읽기 좋을까? "

등을 고민 하는데 쉽지 않았습니다.

중간 점검을 통해 다른 분들의 코드를 보니 다들 비슷한 고민을 하신게 느껴져서 공감이 되었고,

우빈님 피드백을 통해 많이 배웠습니다.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채널톡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