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워밍업 클럽 4기] DevOps 발자국 2주차 - 일프로 부족할때 (TS러버)](https://cdn.inflearn.com/public/files/blogs/6e90e3fc-beb6-4185-a2d3-a886807c55c8/kubernetes_image.png)
[인프런 워밍업 클럽 4기] DevOps 발자국 2주차 - 일프로 부족할때 (TS러버)
강의 수강
1. Probe
운영 복잡도를 줄이고
무중단 배포와 장애 자가 복구를 실현하며
회복탄력성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해줍니다.
Probe는 단순한 기능이 아니라 쿠버네티스가 추구하는 "자율 복구 기반 인프라"의 핵심 구성 요소입니다.
2. ConfigMap, Secret
배포 환경 전환이 쉬워지고
민감 정보 보호가 강화되며
유지보수와 운영 자동화가 수월해집니다.
ConfigMap과 Secret은 단순 설정 리소스를 넘어서 쿠버네티스 애플리케이션 관리의 핵심 도구입니다.
3. PV/PVC, Deployment, Service, HPA
PV/PVC: 선언형 저장소 관리, 역할 분리 구조
Deployment: 선언형 배포 및 자동 롤백
Service: 고정된 통신 경로와 로드밸런싱
HPA: 자동 스케일링, 고급 지표 연동 가능
4. Component동작으로 이해하기
Controller
다른 리소스를 감시하고 상태를 유지/제어하는 역할
Object
독립적으로 실행 자원으로 존재
리소스의 Scope
Namespace-level: 논리적으로 분리된 공간
Cluster-level: 클러스터 전역에서 동작하는 리소스
미션
미션 2,3,4를 하면서 이전 심화 응용 미션을 한 후 설정값을 되돌리기 하지 않아서 다음 미션을 수행하는데 지장이 생겨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조금 소요되었다. 그래도 오히려 카페에 나와있는 내용을 그대로 했을때 한번에 되는것보다 이렇게 디버깅 과정과 오류를 해결하는 과정이 더 재밌다고 생각이 들고 이게 더 오래 기억에 남는것 같다.
http://192.168.56.30:31231/create-file-pv
어라 왜 나는 랜덤 파일명이 리턴 받지 않는거지? 이유가 뭘까?
Deployment yaml 까보기
그라파나 Loki 로그 확인해보기
강사님 자바 코드 소스 분석해보기 - https://github.com/k8s-1pro/app/blob/main/src/main/java/com/pro/app/service/DefaultService.java
이런식으로 디버깅 하는 과정이 결국 나를 좀 더 단단한 데브옵스 개발자로 성장 시켜주는게 아닌가 싶다.
거의 6시간 정도 소요되었는데 이과정에서 다시 세팅해서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도출하는 과정에서 좀 더 Probe, ConfigMap, Secret, PV/PVC, Deployment, Service, HPA에 대해서 이해가 잘되었다!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