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밍업클럽4기 DevOps 1주차 발자국
복습글(링크)
컨테이너의 기술 발전 과정 흐름을 통해,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에 꼭 필요한 지식을 알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현업에서 도커를 사용하고 있었지만, LXC 및 rkt에 대해서는 알지 못했는데, 이번 기회에 관련 지식을 습득할 수 있어서 매우 좋았습니다.
쿠버네티스 설치에서 사용된 containerd 등 도커에 관련된 자세한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Sprint1 Day3 쿠버네티스 무게감 있게 설치하기
쿠버네티스 권장 설치 조건에 대해서 설명 들을 수 있었고, 처음 사용해본 Vagrant 가 매우 신기했습니다.
강사님께서 스크립트 내용도 추가로 설명을 해주셔서, 해당 스크립트를 수정해 원하는 환경도 구성해보고 싶습니다.
Sprint1 Day4 실무에서 느껴본 쿠버네티스가 편한 이유
실무에서 VM 기반으로 App을 배포할 때 공수와 쿠버네티스를 사용해 App을 배포할 때 효율성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App을 초기 런칭한다고 가정하며 Pod에 부하를 줄 때, 쿠버네티스가 자동으로 Pod를 스케일링되는 지 실습할 수 있었으며
셀프힐링을 통해 Pod가 재시작되어 운영자의 실수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부분이 특히 좋았습니다.
docker logs
를 사용해 로그를 일일이 찾고 있었는데, Loki를 사용해 App의 로그를 웹 콘솔에서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부분도 너무 좋아 빠르게 업무에 도입해보고 싶습니다.
쿠버네티스 배포에 사용된 YAML 파일에서, 오브젝트와 각 값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자세히 알아볼 수 있었습니다.
쿠버네티스에서 권고하는 Label 지정과 강사님께서 권고하는 Label 지정이 필요한 값에 대해 알려주셔서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