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 8일간! 인프런x토스x허먼밀러 역대급 혜택

[쿠버네티스] Object 그려보며 이해하기-일프로 부족할때 (TS러버)

[쿠버네티스] Object 그려보며 이해하기-일프로 부족할때 (TS러버)

해당 블로그는 [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강의에 일부 내용입니다. 복습을 위한 자료 입니다.


1. 쿠버네티스 Object

 

image

쿠버네티스는 다양한 Object(리소스)를 통해 앱을 구성하며, 이들을 구분하고 연결하기 위해 Label / Selector 체계를 사용합니다.

  • part-of : 전체 서비스를 대표하는 이름

  • component : 해당 서비스 내에서의 역할

  • name : 앱의 이름

  • instance : 동일 앱의 식별자 (버전별, 목적별)

  • version : 앱의 버전

  • managed-by : 배포 도구(ex. kubectl, helm)

이러한 Label들은 selector와 매칭되어 Deployment, Service, HPA 등의 Object 간 연결에 사용됩니다.

네이밍 규칙은 공식적으로 정해진 건 없지만, namespace + instance명 기반으로 구성하면
중복을 방지하고 유지보수에 유리합니다.


2. Deployment 기반 인프라 구성 흐름

image

  • Deployment → ReplicaSet → Pod → Service

︎ ConfigMap / Secret / PVC

  • Deployment는 업데이트 전략과 replicas 수를 정의하며,

  • ReplicaSet은 Pod 복제본을 관리하고, Pod가 꺼지면 자동으로 다시 생성합니다.

  • Pod 내부에는 probe, resource, volume, envFrom 설정이 들어가며,

  • 필요한 외부 자원은 ConfigMap, Secret, PVC로 관리합니다.


3. 쿠버네티스에서 자동화되는 기능

image

  • Service - 여러 Pod를 하나의 네트워크 단위로 묶어 트래픽 라우팅

  • HPA - CPU 부하에 따라 자동으로 Pod 수 증감 (min/max 설정 가능)

  • Self-Healing - Pod가 죽으면 자동 재시작

  • RollingUpdate - 무중단 배포 + 실패 시 롤백 가능

  • 코드 기반 관리 - yaml로 구성되어 변경 이력 추적, 재사용, 환경별 배포가 쉬움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채널톡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