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 8일간! 인프런x토스x허먼밀러 역대급 혜택

[쿠버네티스] 실무에서 느껴 본 쿠버네티스가 정말 편한 이유-일프로 부족할때 (TS러버)

[쿠버네티스] 실무에서 느껴 본 쿠버네티스가 정말 편한 이유-일프로 부족할때 (TS러버)

해당 블로그는 [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강의에 일부 내용입니다. 복습을 위한 자료 입니다.



1. 쿠버네티스 표준 생태계로 편해진 IT 인프라 구축

 

image

  • CNCF 생태계는 쿠버네티스 기반으로 구성된 표준화된 오픈소스 도구들을 제공합니다.
    이 안에서 Graduated → Incubating → Sandbox → Archived 순으로 성숙도가 나뉘며,
    공식 멤버 여부와 GitHub 스타 수 등을 참고해 실무에 적합한 도구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생태계 안의 도구를 활용하면 기술 선택의 불확실성을 줄이고,애플리케이션 추가/제거 시에도 자동 연동되는 모니터링 시스템 등으로 개발-운영 연계가 훨씬 자연스럽고 편리합니다.

  • 실제 실습 시, 단순히 Pod 하나를 띄웠는데 Grafana에서 메트릭이 자동 노출되는 경험처럼 초기 설정 걱정 없이도 많은 기본 구성이 자동화되어 있습니다.


2. 쿠버네티스 기능으로 편해진 서비스 안정화

image

  • Traffic Routing: 다수의 Pod에 트래픽을 자동 분산

  • Self-Healing: Pod 장애 발생 시 자동 재기동

  • AutoScaling: CPU 등 리소스 사용량에 따라 자동으로 Pod 수 조절

  • RollingUpdate: 무중단 업데이트 및 실패 시 자동 롤백 처리

  • Readiness Probe: 준비되지 않은 Pod는 트래픽을 받지 않음

→ 기존 VM 기반 환경에서는 수동 작업이 필요했지만, 쿠버네티스는 이를 자동화하여
빠른 배포와 장애 대응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3. 인프라 환경 관리의 코드화

 

image

  • 쿠버네티스는 설정을 YAML 파일 등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모든 인프라 변경 사항이 기록으로 남고 추적 가능합니다.

  • 환경별 배포 파일 분리, 사전 준비, 재사용이 가능해 반복 작업 감소품질 향상에 기여합니다.

  • 코드 기반 관리는 인프라 이력 관리를 가능하게 하고, 기존의 수작업 중심 관리에서 벗어나 자동화된 DevOps 환경 구축이 가능합니다.


IaS(Infrastruture as a Code)라고 들어만 봤지 이렇게 강력한지 몰랐습니다. 기업들이 왜 쿠버네티스를 선호하고 대세인지 공부를 하면 할 수록 점점 깨닫게 되는것 같네요.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채널톡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