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워밍업클럽4기 devops - [미션1] 쿠버네티스 설치 구간별 상태 확인](https://cdn.inflearn.com/public/files/blogs/89996287-52d8-4f43-bd09-0fba81bef7c4/337268.png)
인프런워밍업클럽4기 devops - [미션1] 쿠버네티스 설치 구간별 상태 확인
✅ 아래 글의 내용 및 이미지는 인프런 "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지상편) - Sprint 1, 2" 강의를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
[3-1] Rocky Linux 버전 확인
▶ k8s-master 원격접속 후 명령어 실행
[3-2] Hostname 확인
▶ k8s-master 원격접속 후 명령어 실행
[3-3], [3-4] Network 확인
▶ k8s-master 원격접속 후 명령어 실행
[3-5] 자원(cpu, memory) 확인
▶ k8s-master 원격접속 후 명령어 실행
[4] Rocky Linux 기본 설정
▶ 패키지 업데이트 진행
▶ 타임존 설정 확인
[5] kubeadm 설치 전 사전작업
▶ 방화벽 해제 확인
▶ 스왑(swap) 비활성화 확인
[6] 컨테이너 런타임 설치
[6-1] 컨테이너 런타임 설치 전 사전작업
▶ iptables 세팅
[6-2] 컨테이너 런타임 (containerd 설치)
[6-2-1] containerd 패키지 설치 (option2)
[6-2-1-1] docker engine (containerd.io)만 설치
▶ docker repo 설정 확인
▶containerd 설치 확인
▶설치 가능한 버전의 containerd.io 리스트 확인
[6-3] 컨테이너 런타임 (CRI활성화)
* 쿠버네티스 문서에 Kubelet의 Cgroup의 Default가 cgroupfs라고 말씀 드렸는데, 레드햇 계열 리눅스의 경우 systemd를 메인으로 프로세스를 실행시키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쿠버네티스 설치시Default로 systemd가 세팅됩니다. 이 경우 containerd도 systemd로 변경하여 모두 systemd를 쓰는게 Core 사용에 부담이 없습니다.
▶ cri 활성화 설정 확인
▶ kubelet cgroup 확인 (configmap)
▶ kubelet cgroup 확인 (kubelet)
[7] kubeadm 설치
▶ repo 설정 확인
▶ SELinux 설정 확인
▶ kubelet, kubeadm, kubectl 패키지 설치
▶ 설치 가능한 버전의 kubeadm 리스트 확인
[8] kubeadm으로 클러스터 생성
[Kubernetes Docs] : https://kubernetes.io/docs/setup/production-environment/tools/kubeadm/create-cluster-kubeadm/
[8-1] 클러스터 초기화 (Pod Network 세팅)
▶ 클러스터 상태 확인
[8-2] kubectl 사용 설정
▶ 인증서 설정 확인
[8-3] CNI Plugin 설치 (calico)
▶ calico pod 설치 및 pod network cidr 적용 확인
[8-4] Master에 pod를 생성 할 수 있도록 설정
▶ Master Node에 Taint 해제 확인
[9] 쿠버네티스 편의 기능 설치
[9-1] kubectl 자동완성 기능
▶ kubectl 기능 설정 확인
[9-2] Dashboard 설치
▶ dashboard 설치 확인
[9-3] Metrics Server 설치
▶ metrics server 설치 확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