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 8일간! 인프런x토스x허먼밀러 역대급 혜택

인프런 워밍업 클럽 스터디 3기 - CS 전공지식 (운영체제, 자료구조, 알고리즘) 회고

인프런 워밍업 클럽 스터디 3기 - CS 전공지식 (운영체제, 자료구조, 알고리즘) 회고

3주간의 기간동안 기초적인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을 배우고, 운영체제에 대한 기본지식을 갖출 수 있어서 유용한 시간이었다.

마지막 주의 운영체제에서는 모르고 있던 개념들을 많이 익힐 수 있었는데, 특히 메모리에 대한 수업이 기억에 남았다.


운영체제

  • 메모리 관리자: 동적주소변환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물리 메모리에 배치함(프로세스 배치 및 처리 관리)

  • 배치정책의 종류

image

  • 세그멘테이션과 페이징

image

  • 주변장치: 캐릭터디바이스와 블록디바이스로 나뉘며, 메인보드에 있는 버스로 연결되어있다.

-> I/O버스는Address버스, Data버스, Control버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가지 버스르 따로 받을 수 있다.

-> 장치의 상태와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는 각종 레지스터가 존재하며, 레지스터들은 입출력작업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 값은 CPU(메모리)로 이동되기도 한다.

 

  • 캐릭터디바이스: 상대적으로 데이터 전송단위가 작음

-> 마우스, 키보드, 사운드카드, 직렬/병렬포트

  • 블록디바이스: 상대적으로 데이터 전송단위가 크며 블록단

-> 하드디스크, SSD, 그래픽카드

 

  • DMA: 직접 메모리 접근, 입출력제어기에서 데이터를 직접 저장하거나 가져올 때 사용함

  • 입출력제어기: 고속입출력, 저속입출력이 있음

-> 시스템버스는 고속으로 작동하는 CPU와 메모리가 사용(그래픽카드의 경우 대용량의 데이터를 다루기때문에 시스템버스에 연결)

-> 입출력버스는 주변장치가 사용(느리고 빠른 장치를 구분해 병목현상을 해소)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채널톡 아이콘